176 vue.js

source: categories/study/vue-experiance/vue-experiance_9-99_77.md

176 vue.js

요즘 많은 인기를 끌고 있는 프론트 엔드 프레임워크가 있다. 바로 Vue.js다.

그 인기가 어느 정도인가 하면 프론트 엔드 프레임워크의 양대 산맥이라 할 수 있는 Angular와 React를 능가하고 있다.

이는 지난 1년간의 구글 트렌드에서도 나타난다.

이 Vue.js는 React와 같이 MVC 모델에서 View만을 담당하는 프레임워크로, 빠른 속도, 작은 크기, 학습의 용이성, 그리고 잘 정리된 문서를 그 특징으로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Vue.js의 차별성은 자신만의 새로운 무언가를 또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다른 프레임워크의 장점만을 모방한데서 나온다. 일례로 Vue.js의 내부 구현은 React가 채용하고 있는 가상 DOM 기반이고, 그 사용법에 관해서는 템플리트, 디렉티브, 인터폴레이션 등의 Angular의 그것 처럼 쓸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Vue.js는 이렇게 단순하게 다른 프레임워크의 장점들을 합쳐놓은 것이 아니라, 그 장점들을 더욱 극대화 할 수 있도록 개선시킨 많은 아이디어 들이 숨어 있다.

가상 DOM을 통한 렌더링을 최적화를 위해 템플리트 변수의 변경을 추적해서 렌더링 여부를 자동으로 결정시켜 주는 것이라 든가, AngularJS에서 악명이 높은 scope을 제거하고 MVVM 구조를 선택한 것들은 Vue.js의 성능을 높이고 사용 편의성을 개선하는데 크게 한 몫을 했다.

이런 Vue.js의 차별성을 알아본 많은 사람들이 Angular나 React에서 Vue.js로 옮겨 가고 있는 중이다. 또한 직관적이고 단순한 사용법에 진입장벽이 낮아서 신규 프론트엔드 개발자들이 선택을 많이 하기도 한다.

Angular관련 책을 쓴 본인도, 근래에는 본능적으로 Vue.js에 관심을 보이는 배신(?) 행위를 좀 하고 있는 중이다.

특히 근래 프로토타이핑 중인 프로젝트에서 Angular 4의 서버 사이드 렌더링 속도가 좀 아쉬워서, Vue.js를 사용해서 다시 작성해 본 결과 거의 2~3배의 속도 차이를 보인것을 보고 Vue.js에 대한 호감도가 급격히 상승한 상태이다.

앞으로 이 Vue.js와 좀더 친하게 지내 봐야 겠다.

[출처] https://m.blog.naver.com/jjoommnn/221079043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