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Git & GitHub 시작하기

source: categories/study/git-beginner2/git-beginner_2_2.md

2.1 Git 초기화와 로컬 저장소

  1. 내 컴퓨터 프로젝트 폴더에 ‘여기에서 Git을 쓸거다!'라고 명령 git init
  2. 코딩 후 내가 변경할 파일 중 올리길 원하는 것만 선택 git add
  3. 선택한 파일들을 한 덩어리로 만들고 설명 적어주기 git commit -m '첫페이지 제작'
  4. GitHub 사이트에서 프로젝트 저장소 만들기
  5. 내 컴퓨터 프로젝트 폴더에 GitHub 저장소 주소 알려주기 git remote add
  6. 내 컴퓨터에 만들었던 덩어리 GitHub에 올리기 git push

  1. 원하는 폴더에서 Git 초기화를 하면 그때부터 가능

     git init
    
  2. Git 초기화를 하면 .git이라는 숨겨진 폴더가 만들어진다.
    이게 로컬 저장소

  3. 로컬 저장소에 내가 만든 버전 정보, 원격 저장소 주소 등이 저장된다.
    Git을 다룰 때 필요한 모든 정보들이 저장됩니다.

  4. 원격 저장소에서 내 컴퓨터로 코드를 받아오면 로컬 저장소가 자동으로 생긴다.

  5. 한 폴더에 하나의 로컬 저장소만 유지해야 한다.
    여러개 하려고하면 .git 폴더가 충돌을한다.


현재 폴더 안에 있는 폴더 또는 파일목록 보는 명령어

ls

숨겨진 파일, 폴더까지 보고싶다면

ls -al

2.2 첫 번째 버전 만들기

  1. 내 컴퓨터 프로젝트 폴더에 ‘여기에서 Git을 쓸거다!'라고 명령 git init
  2. 코딩 후 내가 변경할 파일 중 올리길 원하는 것만 선택 git add
  3. 선택한 파일들을 한 덩어리로 만들고 설명 적어주기 git commit -m '첫페이지 제작'
  4. GitHub 사이트에서 프로젝트 저장소 만들기
  5. 내 컴퓨터 프로젝트 폴더에 GitHub 저장소 주소 알려주기 git remote add
  6. 내 컴퓨터에 만들었던 덩어리 GitHub에 올리기 git push

2.2.1 커밋으로 만들길 원하는 파일만 선택: add

2.2.2 Git 사용자 정보 등록

  1. git 전역 사용자 설정 (GitHub의 닉네임과 이메일을 입력해주세요)

     git config --global user.name "hyungju-lee"
     git config --global user.email "beegizee1220@gmail.com"
    

2.2.3 버전 생성 실습

  1. 원하는 파일만 선택하기

     git add README.md
    
  2. 메세지를 달아 커밋으로 만들기

     git commit -m '프로젝트 설명 파일 추가'
    
  3. 생성한 커밋 보기

     git log
    

2.2.4 commit

  1. 커밋은 ‘의미 있는 변동사항'을 묶어서 만든다.
  2. 버튼 클릭 버그를 고치는데 5가지 파일을 수정했다면 그 5가지를 묶어서 하나의 커밋으로 만든다.
  3. 동료 개발자(혹은 미래의 나)가 ‘버튼 클릭 버그'를 고치는데 어떤 파일을 수정했는지 손쉽게 파악 가능하다.
  4. 커밋 메시지는 적는게 귀찮아도 잘 적어야한다.
    그래야 나중에 후회하지 않게 된다.

2.3 만든 버전 GitHub에 올리기

GitHub 원격 저장소에 올려 다른 사람들과 함께 버전관리.

  1. 내 컴퓨터 프로젝트 폴더에 ‘여기에서 Git을 쓸거다!'라고 명령 git init
  2. 코딩 후 내가 변경할 파일 중 올리길 원하는 것만 선택 git add
  3. 선택한 파일들을 한 덩어리로 만들고 설명 적어주기 git commit -m '첫페이지 제작'
  4. GitHub 사이트에서 프로젝트 저장소 만들기
  5. 내 컴퓨터 프로젝트 폴더에 GitHub 저장소 주소 알려주기 git remote add
  6. 내 컴퓨터에 만들었던 덩어리 GitHub에 올리기 git push

  1. 내 컴퓨터 프로젝트 폴더에 GitHub 저장소 주소 알려주기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아이디/이름.git
    
  2. 만든 커밋 푸시하기

     git push origin master
    

2.4 다른 사람이 만든 저장소 받아오기

2.4.1 원격 저장소를 내 컴퓨터에 받아오기: 클론(clone)

클론(clone)을 하면 원격 저장소의 코드를 내 컴퓨터에 받아올 수 있습니다.
로컬 저장소(.git 폴더)도 자동으로 생깁니다.

git clone https://github.com/아이디/이름.git .

위 명령어 맨 마지막에 점을 찍어줘야 현재 폴더에 내려받습니다. 안 찍으면 새 폴더 생성!

2.4.2 원격 저장소의 데이터 가져오기: 풀(pull)

git pull origin master

2.5 가장 간단한 협업 시나리오 - 7가지 개념 리뷰

  • GitHub push 권한 추가

    1. 레포의 Settings 탭
    2. Manage access 탭, 비밀번호 입력
    3. You haven't invited any collaborators yet
      Invite a collaborator 버튼 클릭
    4. GitHub User name을 적은 후 Add ~~ to this repository 버튼 클릭
      추가한 계정으로 email 발송.
      email에서 확인 버튼을 누르면 해당 계정을 가진 사람은 이 저장소로 push가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