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1 시작의 끝

여기까지 HTTP에 대해 간단히 소개했다.
이 장에서 우리는 HTTP의 멀티미디어 전송 프로토콜로서의 역할에 주목했다.
우리는 어떻게 HTTP가 URI로 원격 서버에있는 멀티미디어 리소스에 이름을 붙이는지 개략적으로 살펴보았고, HTTP를 사용하는 몇몇 웹 애플리케이션을 조사해보면서 이 장을 마무리했다.
남은 장들에서는 HTTP 프로토콜, 애플리케이션, 리소스의 구조에 대해 훨씬 더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1.1.12 추가 정보

  • HTTP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

    • HTTP Pocket Reference: HTTP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며, HTTP 트랜잭션을 구성하는 각 헤더와 상태 코드에 대한 설명을 찾아보기 쉬운 형태로 제공한다.
    • http://www.w3.org/Protocols/open in new window: 이 W3C 웹페이지는 HTTP 프로토콜에 대한 여러 훌륭한 링크를 포함하고 있다.
    • http://www.ietf.org/rfc/rfc2616.txtopen in new window: REF 2616,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HTTP/1.1'은 HTTP/1.1의 현재 버전에 대한 공식 명세다.
      이 명세는 HTTP에 대한 잘 쓰였고 잘 조직된 상세한 참고문서이지만, HTTP의 근간이 되는 개념 및 계기나 이론과 실제의 차이를 배우길 원하는 독자에게는 이상적이지 않다.
      우리는 이 책이 그러한 개념을 채워주어 독자가 이 명세를 더 잘 활용하게 되기를 희망한다.
    • http://www.ietf.org/rfc/rfc1945.txtopen in new window: RFC 1945,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HTTP/1.0'은 오늘날 HTTP의 초석이 된 HTTP/1.0을 서술한 정보성(information) RFC이다.
      이 명세가 쓰일 당시를 기준으로, 공식적으로 허용되는 동시에 모범이 될 만한 웹 애플리케이션의 행동방식들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HTTP/1.1에서는 더 이상 사용하지 않게 되었지만 여전히 구식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널리 구현되어 있는 동작들에 대한 유용한 설명도 포함한다.
    • http://www.w3.org/Protocols/HTTP/AsImplemented.htmlopen in new window: 이 웹페이지에는 GET 요청만이 구현되어 있고 내용 유형 개념도 없는 1991년의 HTTP/0.9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이 담겨있다.
  • 역사적 시각

  • 기타 월드 와이드 웹 정보